문턱 또는 문지방은 왜 있을까?

 

어떤 집입 장벽이 높은 곳을 들러가려 할때 '문턱이 높다' 라는 말을 쓴다.

또 자리에 가만히 있지않고 수시로 들락거릴때 '문턱이 닳도록 드나든다' 라는 말도 한다.

그렇다. 문턱은 어떤 공간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경계의 의미를 가진다.

 

 

 

 

전통 한옥에서 문턱(문지방)은 지금의 현대식 아파트보다 훨씬 높았다. 문이 꼭 닫히는 역할과 문틀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했는데, 바깥의 먼지가 쉽게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귀신이 넘어오지 못하게 한다는 미신적인 이유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 옛날 어른들이 문지방 밟고 다니면 부정탄다는 말을 했었나보다.

 

이러한 이유들과 문턱이 익숙해져서 문턱이 있었는데 요즘엔 발가락을 부딪히기도하고 청소할때 불편하다는 이유 등으로 문턱 제거를 요청하는 일들이 많다. 그렇다면 문턱제거 후 불편 사항들은 무엇이 있을까?

 

 

 

 

문턱 제거 시 필수 체크 리스트

 

 

1. 거실과 방의 높낮이가 다른지 체크

 

간혹 이런 아파트들이 있는데 문턱을 경계로 거실과 방의 바닥 높낮이가 다른 경우가 있다. 대체로 방이 낮은 경우가 많다. 문턱을 중심에 두고 양발을 각각 거실과 방에 한쪽씩 위치해보면 차이를 느낄 수 있는데, 방전체를 미장해서 높이를 맞출 수는 없는 노릇..

이런 경우에는 살짝 단차가 생기거나 경사가 질 수 밖에 없다.

 

 

2. 불빛, 소음, 바람이 새어 들어온다.

 

문턱을 제거한 만큼 문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이런걸 생각안하고 시공자에게 싫은 소리하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경험 많은 시공자라면 이런 사항을 미리 고지 했을거다. 그 틈새가 너무 못견딜 정도로 크다면 문짝을 리폼하거나 교체하는 방법이 있다.

 

 

3. 바닥교체 없이 문턱만 제거한다면?

 

기존에 바닥이 마루이건 장판이건, 같은 마감재를 구해주는게 아니라면 색상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또 같은 마감재라고 하더라도 세월의 흔적때문에 약간 이색질 수도 있는데.. 이런건 부분 공사시 감안해야한다.

 

비용도 부분 제거와 전체 바닥교체를 진행하면서 문턱제거 포함은 다르다. 보통 바닥교체 중 문턱제거는 개당 1~3만원으로 받지만, 문턱만 제거한다면 몇 십만원부터 시작한다. 문턱제거는 철거- 미장- 샌딩- 마루마감의 과정을 거치는데 부분 공사는 하루 인건비가 자재값보다 많으니...

 

 

4. 거실과 침실의 마감재를 달리할 경우

 

거실을 마루, 방은 장판으로 한다면 두 마감재 시공시 높낮이가 다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재료분리대를 넣어서 마루의 단면을 가져준다. 그냥 실리콘으로 마감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하자 가능성이 있으니 비추..

 

 

 

 

요즘 세상이 워낙에 빠르게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다보니.. 이런 변화의 흐름을 쫓아가기 힘들어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인지 가장 편히 쉬어야하는 공간인 집에서 만큼은 아무것도 없이 필요한 것들만 있는 미니멀 라이프를 즐기는 심리가 생겨난걸지도 모른다.

미니멀 라이프를 위한 미니멀리즘 인테리어 팁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1. 필수적인 요소들이 무엇인지 체크한다.


미니멀리즘 인테리어의 첫 단계는 꼭 필요한 것들을 리스트로 작성하는 것이다. 침실에 꼭 필요한 것, 거실에 꼭 있어야 하는 것들을 리스트로 작성하고 리스트에 없는 것들을 제외시켜야한다. 있으면 좋지가 아닌, 꼭 있어야하는 것이 정해지면 준비단계는 끝났다.




2. 가구 모양은 단순하게


미니멀리즘 인테리어에서 공간을 구성하는 아이템들은 아주 중요한 요소들이다. 사각형보다 각이 많으면 형태가 점점 복잡해지니 피하는게 좋다. 가구들고 무거워 보이지않는 라인의 형태로 선택하고 행여 묵직한 느낌의 가구를 꼭 써야한다면 다른 가구들에서 힘을 빼야한다.

그리고 화려한 패턴은 피해야한다.




3. 컬러 선택


화이트, 아이보리 등의 중성적인 컬러가 미니멀리즘 인테리어의 베이스 컬러로 사용하기에 좋다. 이대로도 좋지만 다른 컬러를 넣고 싶다면 3가지 이상의 컬러믹스는 하면 안된다. 컬러 매치도 힘들어지고 복잡해진다.

중성적인 컬러를 80% 정도, 포인트 컬러를 20% 정도로 쓰면 효과적이다.



4. 잡동사니들을 버려라.


1년이 지나도록 쓰지않은 물건들은 모두 버려도 된다. 놔둬봤자 공간만 차지하고 미니멀 라이프를 방해할 뿐이다. 필요없는 잡동사니들을 정리하고 나면 충분히 확보된 수남공간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기증을 하면 연말정산 혜택까지 있으니 일석이조인 셈이다.



5. 가구 선택


일반적으로 가장 비용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게 되는 부문이 가구이다. 가구는 공간의 분위기를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이다. 그리고 가구와 소품 선택은 공간을 메이크업 하는 일이기에 벽지, 바닥 등등 아무리 잘해도 가구에서 망쳐 버릴 수도 있다. 미니멀리즘 인테리어에 어울리는 가구는 심플한 모양과 깔끔한 색상이 좋다.

장식적인 요소에 현혹되지말고 가구 본연의 기능 할 수있는지를 먼저 따지면 자연스레 미니멀 라이프를 위한 가구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한번 커튼을 구매하면 이사를 가지않는 이상 5~10년은 사용한다. 이렇게 오랜 시간동안 집안의 창문을 꾸며주는 아이템인 만큼 신중하게 고르기 마련인데... 이게 또 생각보다 가격도 저렴아지는 않아 걱정이된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되실거라 믿는다.

 

 

1. 우리집 스타일 제대로 파악하기

 

자신이 원하는 커튼과 우리집의 스타일이 전혀 어울리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모던한 분위기에 화려하고 장식이 많은 클렛ㄱ한 커튼이 어울리지 않듯이, 각각의 공간에는 저마다 짝이 있기 마련이다.

 

핀터레스트나 구글에서 다양한 사진들을 보고 참고하는 것도 좋지만 그 사진들이 모두 옳은 것은 아니기에 냉정한 판단이 필요하다. 차분하고 이성적으로 자신의 집을 둘러보고 모든 가구들을 바꿔버리는게 아니라면, 현재의 분위기를 따라가는게 현명하다.

 

 

 

 

 

 

2. 비용 계획을 세워야한다.

 

 

커튼은 겉지와 속지로 나눈다. 하지만 커튼을 처음 구매하려고 가격을 보면 만만치않다. 그래서 거실은 겉지와 속지를 둘 다 제작하고 안방은 암막겉커튼 하나만, 드레스룸 같이 곧장 드러나는 부문이 아니라 저렴한 롤블라인드로 설치 하기도 한다. 본인 스스로가 가장 비중을 두는 공간에 많은 투자를 하는 것이 좋다. 

 

 

 

 

 

 

3. 컬러 선택

 

 컬러선택에서 많은 사람들이 어려운을 느끼는데 가장 무난한 그레이톤이나 웜그레이톤으로 선택하면 실패확률이 적다. 중성적인 컬러의 커튼은 유행을 타지않을 뿐더러 다른 컬러와 함께하면 베이스 컬러의 역할을 확실히 해준다. 확실한 컬러가 들어간 커튼은 집안의 분위기를 한순간에 바꿔줄 수 있는데 컬러사용이 무섭다면 투톤으로 제작해 보는것도 포인트가 되고 좋아보인다.

 

 

 

 

 

 

 

4. 포인트를 주는 액세서리

 

 커튼을 묶을때 쓰는 타이백은 굉장히 다양한 디자인으로 나온다. 무난하게 쓰고 싶다면 커튼과 동일한 원단으로 만드는게 좋고 포인트를 주고 싶다면 커튼과 다른 재료나 장식적인 요소가 있는것으로 선택하면 된다.

 

 

 

5. 커튼은 창문보다 크게 천정에서 바닥까지

 

 창문이 천정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커튼은 천정에서부터 내려오는 것이 좋다. 아래 사진을 비교해보면 오른쪽이 더 안정감있고 공간을 풍부하게 연출한다. 창문에 딱 맞는 커튼은 비용은 줄어들겠지만 줄어든 비용만큼 공간의 분위기도 옹색해진다.

 

 

 

 

Source of the photos. 핀터레스트, 빌라주 인테리어

Written by. JAY

 

 

 

+ Recent posts